-
경영전략의 수립과정경영학 2023. 5. 23. 20:46
경영전략의 수립과정은 경영계획 수립과정과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 경영환경 분석
경영전략 수립의 첫 단계는 경영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하여 기회와 위협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경영환경 분석은 모든 기업에 공통적이고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거시환경 분석과 해당 기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과업환경 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 거시환경 분석은 기업 활동을 수행하는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술, 생태적 환경요소 등 변화의 내용과 추세를 분석하는 것이다. 과업환경 분석은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쟁자, 고객, 공급자, 정부기관, 금융기관, 지역사회 여론 등 변화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거시환경과 과업환경을 분석하는 목적은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른 기회와 위협을 사전적으로 파악하여 이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업 환경에서 경쟁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포터의 경쟁세력 모형(five forces model)을 활용할 수 있으며, 자사의 내부능력과 경쟁사의 능력을 비교하여 자사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SWOT 분석을 사용할 수 있다.
> 기업의 사명과 목표의 검토
외부환경 분석을 통하여 사업상의 기회와 위협을 파악하고, 내부환경 분석을 통하여 자사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한 다음에는 현재의 사명과 목표, 그리고 전략을 그대로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사명과 목표, 전략을 새롭게 정의할 것인지를 검토한다. 시간이 경과하고 환경의 변화가 지속됨에 따라 과거에 설정하였던 자사의 사명과 목표, 그리고 목표달성 방법은 변경할 필요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환경의 변화와 자사의 사명과 목적을 주기적으로 신중하게 재검토함으로써 전략상의 변경만 할 것인지, 아니면 모든 것을 다 변경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결정에 따라 새로운 사명과 목적, 그리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기업의 사명과 목표에 대한 수정과 변경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바로 전략수립단계로 갈 수 있다. 아래는 삼성전자와 대한항공의 경영이념과 사명 등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이념과 사명 등은 경영전략을 수립하는데 방향성을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들에게 목표의식과 참여의식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비전이 명확한 기업은 조직구성원들이 확고한 목표의식에 입각하여 일사불란하게 행동함으로써 조직의 역량이 집결되고 조직성과가 향상된다.
* 삼성전자와 대한항공의 경영이념
- 삼성전자
경영철학: 인재와 기술을 바탕으로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여 인류사회에 공헌한다.
핵심가치: 인재제일, 최고지향, 변화선도, 정도경영, 상생경영
경영원칙: 법과 윤리를 준수한다, 글로벌 기업시민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 고객.주주.종원원을 존중한다, 환경.안전.건강을 중시한다, 깨끗한 조직문화를 유지한다.
- 대한항공
비전: 세계항공업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항공사(To be a respected leader in the world airline community)
미션: Excellence in flight(최상의 운영체제, 고객감동과 가치창출, 변화지향적 기업문화)
> 전략수립
기업의 사명과 목표를 검토하고 SWOT분석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이를 구체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방법인 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효과적인 전략 대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SWOT분석에 따른 다양한 전략적 대안을 고려할 수 있다. 외부환경이 우호적이고 내부역량도 충분한 경우에는 공략적인 SO전략을 채택하고, 외부환경은 좋지만 자사의 역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우회적인 WO전략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환경은 우호적이지 않지만 내부역량이 우수한 경우에는 다각화전략 등의 ST전략을 사용하고, 외부환경도 좋지 않으며 내부역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방어적인 WT전략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SWOT분석에 따른 전략매트릭스(S: 강점, W: 약점, O: 기회요인, T: 위협요인)
- 공격전략(SO전략): 기회를 살리고 강점을 활용하는 전략
- 다각화전략(ST전략): 강점을 살리되 위험을 줄이는 전략
- 우회전략(WO전략): 기회를 살리되 약점을 감안하는 전략
- 방어전략(WT전략): 위협과 약점을 동시에 고려하는 전략
> 전략실행
전략이 수립되면 그 다음 단계는 전략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전략을 수립해 놓고 실행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전략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조직구조, 최고경영층의 리더십, 조직문화, 실적평가제도 등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수립된 전략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 전략추진에 적합한 최고경영층의 리더십, 전략실행에 적합한 조직문화, 전략적 성과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든 시스템과 제도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 전략실행 결과의 평가와 피드백
전략이 추진됨에 따라 경영자는 기업이 전략목표를 향하여 움직이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시로 또는 중요한 단계마다 대안의 진척상황을 전략적 계획과 비교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전략적 통제의 중요한 사항은 전략이 예상대로 추진되고 있는지의 여부와 전략추진이 예상된 결과를 달성하고 있는지의 여부이다. 예상대로 추진되지 않은 경우에는 피드백(feedback)하여 새로운 계획과 전략을 수립하거나 사명, 목표 등을 수정하는 조치를 취하게 된다. 기업의 경영환경은 항상 변화하기 때문에 전략추진이 계획대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어떤 변화가 일어나든지 경영자는 계획수립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변화에 적응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계획수립은 항상 수단이지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는 없다.'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구조의 영향요인 (0) 2023.05.23 조직화 과정과 조직설계 요인 (0) 2023.05.23 계획수립의 의의와 목적 (0) 2023.05.22 우리나라의 기업가: 정주영 회장과 이병철 회장 (1) 2023.05.22 의사결정 모형 (0) 2023.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