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영혁신의 개념과 필요성경영학 2023. 5. 29. 05:32
1. 경영혁신의 개념
경영혁신이라는 용어는 경영과 혁신이라는 두 단어가 합성된 용어이다. 경영이란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의 제 자원을 계획, 조직, 지휘, 조정, 통제활동을 말하는데, 간략히 표현하면 계획(plan)을 수립하고 실행(do)하며, 그 결과를 평가(see)하는 순환 과정으로 표현된다.
혁신(innovation)이란 슘페터(J.A. Schumpeter, 1912)가 "경제발전의 이론(1912)"에서 최초로 사용한 개념으로, 그에 의하면 1)새로운 제품의 개발, 2)새로운 생산방법의 도입, 3)새로운 시장의 개척, 4)새로운 자원의 획득, 5)새로운 경영기법을 도입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위의 개념을 종합하여 경영혁신을 정의해 보면, 조직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의 개발, 새로운 생산방법의 도입, 새로운 시장의 개척, 새로운 자원의 획득, 그리고 새로운 경영기법의 도입을 계획.실행하고 통제하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새로운 방법과 기법을 의도적으로 실행함으로써 기업의 경영시스템을 본질적으로 변화시키려는 것이다.
그래서 경영혁신은 주로 상위경영층에서 도입계획이 수립되고 조직 전체적으로 실행되는 경향이 많지만 반드시 이와 같이 하향식(top-down approach)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혁신에 따라 일부부서나 조직에서만 실행되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제안제도와 같이 상향식(bottom-up approach)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혁신에 따라 일부부서나 조직에서만 실행되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제안제도와 같이 상향식(bottom-up approach)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새로운 변화에 따른 위험부담이 큰 경우에는 특정지역이나 부서에서 먼저 시범적으로 실행한 다음에 점차적으로 실행하는 경우도 있다. 아무튼 경영혁신이란 새로운 기법과 아이디어를 취합하여 그것을 제품, 서비스, 또는 운영방법에 적용함으로써 기업에 유용한 성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2. 경영혁신의 필요성
그러면 왜 기업에서는 끊임없이 경영혁신을 추진해야 할까?
첫째,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적응하기 위해서이다. 최근 경영환경의 변화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요인은 고객중심적인 시장으로의 변화(customer), 경쟁의 심화(competition), 변화의 가속화(change)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기업이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경변화에 맞게 가치창출 활동과 업무수행 방식을 과감하게 변경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비효율적인 조직운영 방식에서 탈피하기 위해서이다. 기업이 성장하고 규모가 점점 커지게 되면서 조직의 복잡성 증대, 기업 내 프로세스의 단절화, 혁신과 창의성의 결핍, 규모의 비경제 등의 문제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과감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변화과정이 요구된다.
셋째, 기술혁신에 따른 새로운 기회의 창출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환경기술(ET), 생명공학기술(BT) 등은 기업에게는 위협인 동시에 기회적 요인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정보통신기술과 센서기술 등이 결합되어 인간을 모형화한 인조인간 로봇기술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신기술의 등장은 기업에게 기회인 동시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 한국에서 개발된 인조인간 로봇 '에버원'은 향후 로봇기술은 미래의 성장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정보기술은 기업 활동의 수행과 기업전략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기술로서 기업 경쟁우위의 확보, 기업의 생산성 및 업무성과의 재고, 새로운 경영방식과 조직화 방식의 제공, 새로운 사업기회의 제공 등의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최근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BRP: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고객 관계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전사적 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공급사슬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 지식경영(Knowledge Mamagement) 등은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기업의 내부능력을 극대화하고 경영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법들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법률적.윤리적 압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경영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의식이 강화되는 추세에 맞추어 조직의 관리방식과 조직구성원의 윤리의식을 고취해야 한다. 이제 기업은 투명하고 정직하게 기업을 운영해야 한다. 뇌물과 경영유착을 통한 성장의 시대는 가고 종업원의 감원도 경제적 사정이 아닌 사회적 합의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환경보호에 대한 일반의 욕구와 정부의 규제 강화로 친환경제품의 개발과 생산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환경경영에 적극적으로 앞장서지 않으면 대중으로부터 외면을 받게 된다는 사실을 적시해야 한다.
다섯째, 조직구성원들의 가치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물질적 풍요 속에서 자란 신세대는 구세대에 비하여 직업가치관이 매우 다르다. 직장에 대한 충성심, 노동가치관, 3D업종 기피, 휴가와 여가생활 중시, 자율권 행사, 욕구 면에서도 매우 상이하다. 이제 관리자는 종업원들의 가정과 직장의 조화로운 생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가치관의 변화에 알맞은 관리시스템의 도입도 필요하다.
여섯째, 기업이 아무 문제없이 운영되는 경우에는 조직구성원들이 매너리즘과 타성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조직에서는 매너리즘과 타성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경영혁신을 추진하는 경우도 있다.'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혁신의 유형(혁신의 내용에 따른 구분) (1) 2023.05.30 환경경영체제 운영 (0) 2023.05.28 윤리경영의 판별기준 (0) 2023.05.27 글로벌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0) 2023.05.24 글로벌 경영의 배경 (0) 2023.05.24